[완주신문]전주시는 그간 전라북도의 중심도시로서 행정, 문화, 경제 전반에 걸쳐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것이 사실입니다. 전북의 도청소재지로서, 도 전체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전주시는 자연스럽게 전라북도의 중심이라는 위치를 점유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중심 역할은 오로지 전주시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도내 13개 시·군의 지속적인 인구 유입과 자원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전라북도 전체가 전주시의 성장에 공헌해왔다는 사실은 결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주시는 이제 와서 완주군과의 행정통합을 추진하며 마치 과거 일제강점기에 인구 증가에 따라 전주와 완주가 분리된 것이 강제였고, 이제는 그것을 되돌려야 한다는 식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역사적 맥락을 왜곡한 일방적인 주장일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자치권을 무시하는 위험한 발상입니다.
과거 노무현 정부 시절, 수도권에 집중된 행정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해 균형 있는 국가 발전을 꾀했던 ‘혁신도시 정책’은 각 도의 도청 소재지를 피해 새로운 거점 도시를 형성하려는 취지였습니다. 그러나 전라북도는 예외였습니다. 유일하게 도청 소재지인 전주에 혁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전북의 균형발전은 오히려 또 다른 집중과 편중을 낳고 말았습니다. 전북의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기회를 스스로 놓쳐버린 결과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주시는 또다시 ‘전북 발전’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을 앞세워 완주군과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상은 소수의 완주군민의 자치권과 지역적 정체성을 무시한 채 다수의 전주시민의 이익을 앞세우는 지역이기주의에 불과합니다. 전주시가 보여주는 태도는 마치 “내 것만 더 커져야 한다”는 놀부의 심보와 다를 바 없습니다.
완주군민은 단순히 숫자로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역사회에 대한 주체적 권리와 자율적인 미래 비전을 갖고 살아가는 주권자들입니다. 이들의 동의 없이 일방적인 논리와 왜곡된 역사 해석을 통해 독선적인 통합을 밀어붙이는 것은 결코 정의롭지 않습니다.
전주시가 진정으로 전라북도의 미래를 고민한다면 먼저 해야 할 일은 주변 시·군과의 상생과 협력을 통해도 전체의 균형발전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완주군의 자치권을 침해하며 성장만을 외치는 놀부심보는 결코 도민과 완주군민의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며, 오히려 전북의 통합과 발전을 더욱 어렵게 만들 뿐입니다.
전주시는 지금이라도 이기적 욕심을 거두고 진정한 지방자치의 정신을 존중하며 새로운 협력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