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반대 여론 우세 완주·전주 통합 투표 가능할까?

통합 무산 시 김관영 지사 정치적 부담 클 듯

[완주신문]완주·전주 행정통합을 두고 완주군 내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주민투표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고 있다.

 

더군다나 지난해부터 실시된 여론조사 등에서 반대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주민투표 실현도 불투명해지고 있다.

 

지난해 8월 완주전주통합청장년추진위원회는 통합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반대가 66%로 집계된 것을 밝힌바 있다. 이어 최근에는 케이저널에서 의뢰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65%가 반대를 선택해 1년전과 여론이 달라진 게 없다는 것을 시사했다. 특히, 본지에서 지난 1, 2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 71%가 완주·전주 통합을 반대한다는 결과가 나와 갈수록 반대 여론이 거세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북자치도 김관영 지사의 완주군 전입과 우범기 전주시장의 무차별적인 통합 홍보가 오히려 완주군내 저항력을 키운 것으로 해석된다.

 

통합반대대책위원회는 전북도와 전주시의 통합 추진이 거세질수록 조직적인 대응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통반위 관계자는 “초기에는 통합에 대한 관심도가 저조했으나 전북도와 전주시에서 홍보활동을 벌이면 벌일수록 주민들의 통합 반대 이유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동시에 반대운동에 동참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수차례 조사를 통해 통합 반대여론이 우세한 상황에서 김관영 도지사가 지속적으로 주민투표를 추진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지난 2011년 서울특별시에서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있었고, 투표율이 33.3%를 넘기지 못해 개표를 못하고 무효가 되면서 당시 오세훈 시장은 시장직을 사퇴했다.

 

이처럼 김관영 도지사 입장에서 주민투표 실패는 정치 생명과 직결되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더군다나 4일에는 차기 도지사 도전자로 알려진 안호영 국회의원이 “갈등만 키우는 통합 추진을 멈춰달라”는 기자회견을 열어 통합을 추진하는 김관영 지사에 정면으로 맞섰다. 이날 안호영 의원은 완주·전주 통합 대신 익산을 포함한 100만 메가시티를 제안하며 김관영 지사와 차별화를 꾀했다.

 

즉, 안 의원은 완주군을 전쟁통으로 몰아넣는 김관영 지사의 통합 추진 정책을 비판하고, 이를 극복해 더 큰 발전 전략을 제시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볼 때 만약 주민투표가 실시되고, 통합 추진이 무산되면 김관영 지사의 입지는 좁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일각에서는 통합 추진 세력이 주민투표를 다음 지방선거 이후로 미루려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반대여론이 우세한 상황에서 주민투표를 하는 것보다 통합에 대한 가능성을 살려두고, 통합 찬성이 우세한 전주시민의 표를 얻는 게 낫다는 판단 때문이라는 것.

 

통합 추진세력은 홍보에 지속적으로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정작 완주군내 통합에 대한 반감은 날로 높아지고 있기에 주민투표 실현 가능성 또한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