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완주·전주 통합하면 전북 발전?

한풀이와 성토장 된 전북재도약원탁회의

[완주신문]전북 현안을 논의하고 정부의 홀대 극복과 도약을 위해 열린 토론회가 완주·전주 통합을 못한 한풀이와 성토장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지난 20일 전북대도약추진위원회가 주최·주관한 ‘전북재도약원탁회의’가 전주시 그랜드힐스턴 호텔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전북지역 22대 총선 당선자들과 도지사, 시장·군수들을 비롯한 100여명이 초청됐다.

 

첫 발제를 맡은 전북연구원 이남호 원장은 “완주와 전주 광역경제권 실현을 통한 앵커도시로 인구 감소 및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며, “인구 감소 시대를 맞아 전북도민 모두가 똘똘 뭉쳐야 산다”고 주장했다.

 

두번째 발제자 송기도 전북대 명예교수도 “전주·완주 통합은 1995년 전국 시군 통합 당시 추진했으나 아직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 같은 현안문제를 해결 못 해 도민들의 큰 실망을 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말로만 하지 말고 이제라도 실천으로 보여줘야 한다”며, 통합 추진을 독촉했다.

 

아울러 송기도 명예교수는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유희태 완주군수를 지칭해 “예전에는 그냥 (통합)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던 분”이라며, “나는 하실 거라고 본다. 옛날에 한다고 했다”고 몰아세웠다.

 

심지어 이흥래 완주전주통합추진연합회 사무총장은 “전북에 중추적인 분들이 다 와계시니 이분들이 (통합을) 합의하고 결정하면 되는 것”이라면서 “세상이 변하고 있는데 완주사람들만 모르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이주갑 완주군의원은 “완주군민들의 의사를 무시하는 발언은 매우 비민주적”이라며, “완주군민들의 자주권을 인정해달라”고 호소했다.

 

이날 과거에 통합을 찬성했던 것으로 알려진 유희태 군수는 “찬성을 할 수도 있고 반대를 할 수도 있지만 결국 주민의 뜻에 따라 결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사회자는 “과거에는 찬성을 했고 군수를 하다보니 군민의 의견을 받들어서 변화가 있다”고 정리했다.

 

노동계 대표로 참석한 김정철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노조위원장은 ”전북 재도약을 위한 토론회라고 해서 왔는데, 완주·전주 통합 토론회 같아 안타깝다”며, “내가 여기에 왜 왔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토론회를 지켜본 일부 완주군민들은 “완주와 전주를 통합하면 전북이 발전하는 차원을 넘어서 통합을 못한 것이 전북 낙후 원인처럼 몰아가는 것이 불편했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