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씨마늘 구매 비용 아끼는 마늘종 활용법은?

으뜸눈 채취해 파종하면 병해충 발생 적어

[완주신문]마늘은 식물체 자체를 씨로 활용하는 영양번식 작물이다. 농가에서는 생산량의 20%, 경영비의 30~40%를 씨마늘 준비에 쓰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씨마늘 구매 비용을 아끼기 위해 마늘종 속 으뜸눈(주아)으로 번식을 시도하는 농가가 늘어남에 따라 품종별 생산기술을 소개했다.

 

으뜸눈이란 마늘종 끝부분(총포) 속에 있는 작은 알갱이로 ‘작은 씨마늘’이라고 할 수 있다. 공중에 있는 마늘종을 활용하면 씨마늘을 키우는 것보다 토양 전염성 병해충 감염이 적다.

 

으뜸눈을 채취해 쓰려면 품종에 따라 마늘종이 나온 후 빠르면 10일, 늦게는 30일까지 마늘종을 자르지 말고 재배해야 한다. 

 

‘남도’ 마늘과 ‘재래종’ 마늘은 으뜸눈 채취 시기에 따라 작은 것과 큰 것을 생산할 수 있다. 

 

작은 것은 땅에 심은 뒤 이듬해 통마늘이 형성되고, 1년 더 재배해야 씨마늘을 생산할 수 있다. 큰 것보다 생산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좁은 면적에서 많은 양의 씨마늘을 생산할 수 있다. 마늘종이 올라온 후 7~10일께 잘라 말리면 마늘종 하나당 0.1∼0.3g의 으뜸눈(주아) 20∼30개를 얻을 수 있다.

 

큰 것을 생산하려면 마늘 수확 무렵까지 마늘종을 자르지 말고 유지해야 한다. 큰 것은 으뜸눈 개수가 적고 마늘종을 오래 키워야 하지만, 이듬해 바로 씨마늘을 생산할 수 있다. 마늘종 하나당 0.5g∼1g 크기의 으뜸눈 7∼10개를 얻을 수 있다.

 

‘대서’와 ‘홍산’ 마늘은 품종 특성상 작은 으뜸눈이 많이 생긴다. 마늘 수확 때까지 마늘종을 자르지 않고 두면 마늘종 하나당 ‘대서’는 60~100개, ‘홍산’은 100~200개의 작은 으뜸눈을 생산할 수 있다. 

 

덜 성숙한 상태에서도 으뜸눈을 채취할 수는 있지만 발아율이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대서’ 마늘의 으뜸눈은 쪽 분화 특성이 발달해 가을에 파종하면 씨마늘로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남부지역은 11월 이후 촘촘하게 파종하거나 이듬해 2월 말~3월 초 파종해 작은 통마늘을 생산하는 것이 좋다.

 

‘홍산’ 마늘은 ‘남도’, 재래종과 특성이 비슷하므로 가을에 파종해 이듬해 생산하고 이것을 한 번 더 심어 씨마늘로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