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주신문]전주김제완주축산농협이 채용비리 의혹에 휩싸였다.
축협은 지난 5월 전 조합장 A씨의 아들 B씨와 전 이사 C씨 아들 D씨를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축협 관계자 E씨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축협 정규직이 되기 위해서는 용역으로 1년 정도 근무하고 계약직으로 전환돼 다시 2년을 근무 한 후 무기계약직이 된 직원들 중 자격증이 있는 직원을 기능직(정규직)으로 채용해왔다.
하지만 B씨의 경우 이런 과정 없이 채용돼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관련 자격증만 소지했을 뿐 관련 업무를 한 적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D씨 또한 축협에서 용역으로 6개월 일하고 정규직으로 채용됐다.
이에 E씨는 “기준과 원칙을 무시한 채용으로 직원들 사기가 떨어지고 박탈감이 크다”고 토로했다.
게다가 공교롭게도 A씨와 C씨는 축협 조합장 선거 시 표가 가장 많은 지역 사람들이다. 축협은 내년 초 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있다.
아울러 E씨는 “현재 조합에 계약직에서 기능직(정규직)이 되고 싶은 직원들이 많은데 채용에서 접수 인원 미달로 두번씩이나 재공고를 낸 점도 의아하다”며, “불공정한 특혜 채용으로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축협 측은 이러한 의혹에 대해 공식적으로 “오해”라고 단언했다.
축협은 “이번 채용은 신규채용으로 기존에 근무하던 계약직을 대상으로 채용한 게 아니다”라며, “절차상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도 (일각에서) 오해를 한 것 같다”고 반박했다.
이어 “더구나 면접을 전주김제완주축협에서 주관하지 않았다”며, “농협중앙회 지침 상 중앙회에서 이번 채용을 주관했기 때문에 특혜를 줄 수 있는 여지가 없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축협은 전직 임원 자녀 채용에 대해서 “좁은 지역 안에서 지역인재를 채용하다보니 우연히 그렇게 된 것 뿐”이라며, “조합원들의 조합에 대한 높은 관심이 이러한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한편, 전주김제완주축협 직원은 총 180여명이며, 이중 60여명이 관리직 및 사무직이고 60여명이 기능직(정규직)이다. 나머지 60여명은 계약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