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전국 수소충전소 중 반이 적자인 상황에서 완주군 수소충전소도 적자가 예상된다.
완주군 수소충전소는 완주군에서 보조금을 지원하고 전북테크노파크에서 위탁운영 중이다. 지난해 완주군에서 수소충전소에 지원한 보조금은 인건비 2억5천만원, 시설유지비 5억원이다. 아울러 수소 구입비는 총 13억원이 들어갔다.
완주군에 따르면 지난해 완주군 수소충전소 월 평균 매출은 9천만원으로, 총 정산 시 순수익은 42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0년 6월 준공된 완주군 수소충전소는 타 충전소의 두배 규모다. 이 때문에 건설비도 두배인 60억원 가까이 들었다. 모두 세금으로 지어졌고, 땅은 현대자동차에서 무상 임대해줬다.
충전소 설치에 들어간 돈을 제외하고도 지난해 운영 실적은 암울하다.
더구나 올해는 수소 공급이 수요보다 적어 판매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
완주군 관계자는 “올해는 수소 공급 부족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적자가 예상된다”며, “민간 수소충전소는 실제 적자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완주군 수소충전소는 이에 비하면 상황이 나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전국 수소충전소 130여개 중 절반에 가까운 61곳이 적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올 5월부터 수소매입 가격도 20~30% 올랐으나 수소 판매 가격은 kg당 8800원으로 고정돼 있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이 때문에 정부는 수소 경제 시작 단계에서 운영을 포기하는 수소충전소가 생길 수 있어 적자 보전 예산을 지난해 15억원에서 올해 153억원으로 올렸다.
하지만 수소 공급과 수소차 후속 출시 등이 난항을 겪고 있어 완주군에서 야심차게 추진한 ‘수소도시’ 실현에 빨간 불이 켜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