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전라북도는 오랜 기간 대한민국 균형 발전, 서해안 시대, 국토 대개조의 상징적 과제를 짊어져 왔다. 그 핵심에는 ‘새만금’이 있다. 그러나 최근 전북도정의 초점이 완주·전주 통합으로 급격히 쏠리면서 도민사회 곳곳에서 심각한 우려와 의구심이 제기된다. 과연 지금 도정의 에너지가 한정된 행정구역 통합 논쟁에만 집중되는 것이 합당한 일인가? 아니면 이는 오히려 새만금 갈등 해소라는 본령의 책임을 회피하고 도민사회의 시선을 분산시키는 전략적 ‘의제 전환’에 불과한 것은 아닌가? 본 기고문은 이 의문을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해부하고자 한다. ■새만금, 30년 갈등의 현주소와 도지사의 책무 새만금 사업은 1989년 착공 이래 군산-김제-부안 3개 시군의 행정구역, 방조제, 신항만, 수변도시 관할권 분쟁과 환경·생태계 파괴 우려, 어업권 및 주민 생계 갈등, 매립 공사로 인한 민원 등 수도 없는 복합적 난제를 내포해 왔다. 최근에는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에 따른 폐수 처리 문제, 새만금신항 운영권 논란, 그리고 잼버리 실패 후 국제적 신인도 하락 등 도정이 집약적으로 대응해야 할 현안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갈등과 혼선 속에서 도지사가 수행
[완주신문]전라북도 완주군은 한국 소도시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전국 대부분의 소도시가 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위험에 직면한 상황에서 완주군은 2025년 5월 인구 10만명을 돌파하며 36년만에 인구 10만 선을 회복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단순한 숫자의 의미를 넘어 지방소멸의 시대에 소도시가 어떻게 자주권과 자치권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다. 완주군은 전북특별자치도 내에서도 재정자립도 17.67%로 전북 평균 23.51%를 밑도는 수준이며, 소멸위험지수는 0.368로 ‘소멸위험진입 단계’에 있다. 특히 13개 읍면 중 8개 면이 소멸고위험 단계인 0.2 미만을 기록하고 있어 지역 내에서도 심각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완주군이 인구 증가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자주적 정책 결정과 주민 중심의 자치권 강화에 있었다. 완주군은 외부 의존적 발전모델에서 벗어나 자체적인 산업 생태계를 구축했다. 완주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현대자동차, KCC, LS엠트론, 한솔케미칼 등 약 357개 기업이 입주해 1만8971여명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으며 테크노밸리 1·2단지, 농공단지, 과학산
[완주신문]최근 전주시는 12개 분야 107개의 상생사업을 제시하며 완주군민에게 통합의 달콤한 미래를 약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사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약속들이 과연 실현 가능한지, 그리고 그것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이 생긴다. 통합 청사 건립, 버스터미널 설치, 도로 확장, 농업진흥기금, 보건소 확대 등 화려한 계획이 제시되지만 정작 이들 대부분은 완주군의 정체성과 자치권을 축소시키고 전주시 중심의 행정구조를 고착화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특히, 전주시는 통합 이후 일반구 4개 체제를 언급하며 마치 완주가 독립적인 행정 단위로 존속될 것처럼 말하지만 지방자치법 제198조에 따르면 특례시가 되더라도 자치구가 아닌 일반구 설치만이 가능하며, 이는 곧 완주는 이름만 남고 실질적인 정책결정권은 사라지게 된다는 뜻이다. 전주시는 마치 통합이 예산 증대와 지역 발전의 전기가 될 것처럼 선전하고 있으나 이는 수치적으로도 타당하지 않다. 대표적 사례인 청주시와 비교하면 그 허상이 명확히 드러난다. 2024년 7월 기준으로 청주시 인구는 약 87만 9천여명, 전주시와 완주군의 인구를 합해도 약 73만8천여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예산은 전주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