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주신문]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이 완주·전주 행정통합이 무산돼도 13차에 걸쳐 추진되고 있는 28개 상생사업은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23일 KBS에서 열린 심층토론에서 김관영 지사는 “상생사업은 처음부터 통합 여부와 무관하게 시작된 사업”이라며 “통합 논의 전부터 추진됐다”고 강조했다. 우범기 시장도 “28개 상생사업은 현재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으며 통합과 연결시키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약속했다.
완주·전주 상생사업은 13차에 걸쳐 합의되고 28개 사업들을 위해서 2500억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유희태 완주군수는 지난 2013년 통합을 전제로 21가지 사업을 시도했지만 통합이 무산되자 상생사업도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유희태 군수에 따르면 당시 상생사업으로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나 농수산물도매시장 완주이전 등이 추진됐지만 통합무산 후 모두 원점으로 돌아갔다.
유 군수는 “이러한 과거 사실 때문에 현재도 완주군민들은 전주시나 통합 찬성세력의 약속을 믿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추진되는 상생사업은 완주와 전주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들로 과거의 불신이 반복되지 않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날 토론회에서 피지컬AI 실증단지 완주군 유치에 대해서도 다뤄졌다. 하지만 통합 여부에 따라 완주군 유치가 불투명하다는 김관영 지사와 우범기 시장의 입장을 확인했다.
김관영 지사는 “피지컬AI 실증단지 유치를 위해 가장 노력한 분이 전주가 지역구인 정동영 국회의원”이라며, “정동영 의원이 피지컬AI를 완주에 유치해 전주·완주가 손잡는 계기를 만들고자 했던 것”이라고 밝혓다.
이어 “하지만 통합이 무산되면 전주나 타 지자체 주민들이 (완주군 유치를) 동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범기 시장도 “(피지컬AI) 정동영 의원 지역구가 전주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게 전북대로 (관련된 게) 모두 전주에 있다”며, “통합 논의가 무르익고 있는 상황에서 (피지컬AI를 두고) 완주와 경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아서 전주가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않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합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전주가 가만히 있을 것인지는 전주시민들과 충분히 논의해서 결정해야 한다”며, 완주군 유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이에 통합을 볼모로 한 김관영 지사와 우범기 시장의 의지가 확인됐다는 평가다.
반면, 유희태 군수는 “피지컬AI 실증사업을 하려면 시설 집적화 등이 가장 잘된 완주가 적합하다”며, “통합과 관련없이 상생사업 14차에서 합의하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