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신문]완주군의회 유의식 의장이 전주시 우범기 시장과 전주시의회 남관우 의장에게 토론를 제안했다.
3일 완주군의회는 전북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전주 행정통합이 과연 누구를 위한 통합인지, 완주군민과 전주시민들이 지켜보는 공개 토론장에서 토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의식 의장은 이날 “완주·전주 통합에 대해 완주군민의 반대 입장만 밝히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북자치도가 주도하고 있는 완주·전주 통합의 부당성과 민주주의 후퇴의 위험성을 174만 전북도민 여러분께 호소한다”면서 “김관영 도지사의 ‘완주군민의 주민투표 요구로 통합논의가 시작됐다’는 말은 진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김관영 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이 선거 과정에서 제시한 정치 공약으로 촉발된 것이지 완주군민들은 사전에 동의한 적도 논의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또한 유 의장은 “3만3천명이 넘는 완주군민이 통합을 반대한다는 청원을 제출했는데도 이 거대하고 방향성이 분명한 민의에 대해서는 지금껏 철저히 무시하고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거 오세훈 서울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무산되자 시장직에서 물러난 것처럼 김관영 지사와 우범기 시장도 주민과 역사의 심판대 위에 서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유의식 의장은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은 행정안전부의 시간이 될 것”이라며, “지역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를 강화하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행정안전부로서 완주군을 새로운 지자체의 모델로 삼는다면 지역소멸 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획기적인 대안을 모색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통합 찬성 세력은 시간 안배도 없이 막무가내로 추진 중”이라며, “시간적 여유가 없고 현실성 없는 통합 추진은 정치적 악용으로 밖에 해석이 안된다”고 밝혔다.
한편, 행정통합을 위해서는 주민투표 후에도 특별법 제정 등 여러가지 절차가 필요하다. 과거 청주시 등 통합 성공 사례를 볼때 최소 1년 이상의 준비 시간이 필요했던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