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후원하기

[기고]요동치는 민심과 다루지 않는 저널리즘

폭발 직전의 현안들, 어떻게 하려고 그러나

[완주신문]<결국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6월 29일 완주신문의 사설 제목은 현재 완주군의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

 

요동치는 민심에 무산안일주의라는 답변을 완주군이 준 것인데 내부 민심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다. 사설에서는 완주군의 한 청렴군민감사관이 비봉면 보은매립장 침출수 운반 업체 담합 의혹을 제기했지만, 아무런 조치도 없이 완주군의 각 부서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질타했다. 나 역시 사설을 보며 행정부서간 책임을 핑퐁 한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매일 받아 보는 시군단위 다양한 지역 주간신문들에서 들려오는 상황은 심각하기만 하다. 도시 지역에서 쏟아지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일선 시군에서 폐기물처리장 사업 허가를 받아내면서 지역 주민들은 생존을 건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주민 동의를 받지 않고 강행되는 사업장 문제는 폐기물만이 아니다. 고창에서는 지역주민들이 동의 없이 진행된 닭 도축장 시설에 대해 행정과 싸움 중이다. 익산, 고창, 완주에서는 집단 암 발병이 의심되는 사태가 드러나고 있는데 역시 수십년 동안 인근에서 운영되던 여러 업체의 의심스러운 정황들이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행정의 지도력이 발동되어 왔는지는 모호하다.

 

이것뿐일까. 과거에서부터 연속된 문제가 여전히 해결에 난항을 겪는 와중에 새롭게 발견된 문제들도 완주신문에 의해 공론화되었다. 고산면 지렁이 분변토 생산시설 논란, 새마을회 지원 특혜 논란, 신흥계곡 국유지 무단 점유 문제, 특히 비봉면 보은매립장 불법 폐기물 사태는 이곳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를 운반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업체 간 담합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끊임없이 완주를 뒤흔드는 상황 속에 주민 민심은 사납게 요동치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치적 주체는 잘 보이지 않는다. 

 

행정은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감추고 덮고 조용해지기를 기다리면 들끓던 여론은 어느 순간 다른 사안에 의해 밀린다는 것을 말이다. 이러한 행정의 패턴은 일선 시군의 문제는 무관심한 주요 언론의 보도 행태와 그동안 함께 침묵해온 일부 지역 언론 종사자의 긴밀한 협력이 있기에 가능했던 게 아닐까. 완주 전체의 이익이 아닌 일부 행정과 협업하며 그들만의 리그를 굳건히 하는데 언론을 활용한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비밀이나 마찬가지다.

 

신흥계곡 국유지 무단 점유 문제는 불법임이 드러났음에도 지역신문사 주재기자들은 대책을 촉구하는 환경단체와 종교단체의 갈등으로 사태를 묘사했다. 한 인터넷 신문은 역으로 환경단체 사람들 중 일부의 불법 문제를 지적하고 나서며 사태를 갈라치기 했다. 결국 종교단체의 시위로 완주군은 불법 시설물을 철거하지 못했는데 후속 대책을 촉구하는 기사들은 지역일간지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히려 최근에는 종교단체의 봉사활동을 일부 지역일간지에서 적극적으로 보도해주기까지 하니 황당할 뿐이다.

 

아니, 전북 지역에 17개의 일간지가 존재하고 190개에 이르는 무수한 언론사가 존재하지만 위에 열거된 완주군의 사안이 별로 기사화되지 않았다는 점도 어리둥절하다. 문제가 분명함에도 다수의 전북 지역 언론사들은 보도 가치가 없다고 판단한 것일까? 완주군에 출입하고 주재하며 지역과 밀접하게 활동하는 기자들이 이 사안을 몰랐을까? 언론사마다 입장이 있겠지만 지자체와 언론사 간의 관계를 고려할 때 비판보다는 침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저널리즘의 본령이 무색할 정도다.

 

날 선 권력 감시를 요구하는 지역사회의 요구에 무보도로 돌려주거나 되치기 하는 다수 언론에 대한 지역민의 의문과 실망은 결국 낮은 신뢰도로 이어지며 불공정의 문제로도 확산된다. 저널리즘 편향이 가져오는 불신과 부정의의 미래가 오랜 시간 침묵으로 협업해온 지역 언론 종사자의 책임이 크다는 걸 그들은 너무 간과하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