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간선수로1]물의 도시, 삼례

2023.06.28 08:43:23

독주항과 샛강 그리고 상수도

[완주신문]대간선수로는 만경강 수계 상류의 물(대아댐, 경천저수지)을 고산 어우보(취입구)에서 취수하여 63Km의 인공 도수로를 통하여 군산 옥구저수지까지 공급하는 수로로 주로 농업용수로 사용하지만 익산 신흥정수장에서 정수된 물은 상수도로 사용된다. 본지를 통해 ▲일제 강점기 일제에 의해 수탈의 물적 토대로 건설된 대간선수로의 역사성과 상징성 ▲대간선수로의 처음 건설과정과 개량 개선에 의해 변화된 현재의 모습 등 토목과 수리 측면에서의 탐구 ▲대간선수로의 기능과 역할, 특히 식량자급 또는 풍년 농사를 위한 거대하고 체계화된 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 ▲대간선수로가 통과하거나 지나가는 인근의 도시와 마을들에 관한 이야기 ▲대간선수로의 창조적 미래, 문화적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한 탐구 등을 전하려 한다.<편집자주>

만경강은 동상면 밤티마을에서 시작하여 동상, 대아저수지를 거쳐 고산에서 경천저수지의 물과 만나고 회포대교 아래에서 소양천과 합하고, 삼례교에서 전주천과 하나가 되어 완성된다. 만경강의 시작은 동상이지만, 완성은 삼례인 셈이다. 그래서 삼례 사람들은 만경강을 ‘한내’라고 부른다. 한내는 ‘크고 넓은 강’이라는 뜻이다. 물이 차가워 한내라고 한다지만 한내는 기본적으로 크다는 의미를 지닌다. 

 

조선시대 호남에는 3개의 커다란 저수지가 있었는데 익산의 ‘황등제’, 김제의 ‘벽골제’, 정읍의 ‘눌제’이다. 전라도를 호남지방(湖南地方)이라고 부르는 것은 전라도가 황등호수(제) 이남에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발굴 성과에 의하면 황등제는 벽골제보다 더 오래되었다고 한다. 이 황등제의 수원은 미륵산뿐이라 늘 물이 부족하여 다른 곳에서 물을 끌어와야 했다. 독주항(약 1.2km)은 만경강의 물길을 황등제로 보내는 도수로의 시점으로 조선시대 독자적인 수리 체계이다. 

만경강에서 황등제까지의 원활한 물 공급을 위해 독주항 보수공사가 꾸준히 진행되었다는 독주항 관련 기사는 조선왕조실록에 여러 차례 등장한다. 이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광해군일기이지만, 1927년 8월 20일 동아일보에는 삼례의 부자 백대석이 1770년대 독주항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소개하고 있다.

 

백대석은 수로를 만들려고 하는데 커다란 바위로 인해 공사에 진척이 없어 고민이 깊었다. 어느 날, 백대석은 꿈에 아침 일찍 수로 공사 현장에 나가면 어린 송아지가 있을 것이니 송아지가 지나는 길을 따라 수로 공사를 하라는 계시를 받았다. 꿈에서 깨어 공사 현장에 나가보니 정말 송아지가 있었고, 송아지가 지난 길을 따라 수로는 완성되었다. 독주항(犢走項)은 송아지가 달려간 수로라는 뜻이다. 이때 사람 모양의 돌부처가 발견되었는데 어느 때인지 사라졌다가 일제 강점기 수로를 확장하며 다시 찾았고, 공사 관계자들은 돌부처를 위해 집을 짓고 제사를 지내려 한다는 내용이다. 이 돌부처가 현재 삼례 금반마을에 있다.

 

독주항은 만경강에 보를 쌓고 물을 취수하여 황등제에 물을 공급하였을 뿐만 아니라 20km에 달하는 수로를 통해 삼례와 춘포, 동익산 등에 용수를 공급했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독주항은 대간선수로와 연결되어 만경강과 대아저수지와 경천저수지에서 물을 공급받아 익산과 군산으로 전해주는 거점이 되었다. ​

대간선수로는 1923년 후지이 간타로(藤井寬太郞,등정관태랑)가 조합장으로 있던 익옥수리조합에 의해 건설된 물길로 고산 어우보에서 시작하여 군산 옥구저수지에 이르는 63km의 수로이다. 대아저수지와 함께 건설된 대간선수로는 세분하면 어우보에서 삼례 독주항 입구(찰방다리, 동학기념비)까지의 15km를 ‘제1도수로’라고 부르고, 삼례에서 황등저수지까지를 ‘제2도수로’라 하고 삼례에서 옥구저수지까지의 48km를 ‘대간선’이라 한다. 또는 익산 목천 삼거리에서 옥구저수지 구간만을 ‘대간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현재 비비정 샛강이라 불리며 생태하천으로 단장한 석탑천은 비비정수도(隨道:터널)를 통해 만경강 물을 취수해서 대간선 수로에 공급하고 있다. 비비정 터널을 통해 유입된 만경강 물과 대간선수로의 물이 삼례역 뒤에서 만난다. 삼례 사람들이 동그랑땡이라 부르는 이곳은 어린 시절 개구쟁이들의 놀이터이기도 했다. 

찰방다리와 연결된 비비정 샛강은 대간선수로의 배수구 역할을 하며 만경강과 연결된다. 결국 삼례의 물길들은 동그란 고리의 모습으로 2중으로 다 연결이 되어 있다. 1920년대 초 일본인들은 비비정마을에 양수장(등록문화재)을 건설하고 수도산에 정수장과 물탱크탑을 건설하여 1960년대까지 삼례와 익산에 상수도를 공급하였다. 양수장은 상수도 공급과 함께 대간선수로로 보내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었을 것으로 보여 삼례는 대산선수로의 핵심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삼례를 거점으로 한 대간선수로는 올해 100주년이다. 대간선 수로의 물주머니인 대아저수지 역시 100주년이다. 대아댐 준공은 1922년 12월 25일이었지만, 대아댐 준공기념식은 1923년 6월 16일과 17일 이틀간 이리에서 성대하게 치러졌다. 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제등실)가 참석하여 호남평야의 수리 체계가 완성된 것을 축하하였다. 당시 행사비로 17만원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니 대간선수로가 일본 농장주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일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삼례는 도찰방, 전라선, 고속도로와 국도, 만경강을 중심으로 한 육운과 해운 교통의 도시이며 내륙에 있지만, 물의 도시이자 농업도시이다. 따라서 삼례의 정체성을 동학혁명이나 도찰방으로 한정하지 말고 물의 도시라는 관점도 추가해야 한다. 100주년이 된 대간선수로와 대아저수지, 100년 된 어우보 취수문을 비롯한 오래된 수문들, 경천저수지, 독주항, 돌부처 등은 소중한 근대농업유산이다. 이 모두를 함께 국가중요농업유산에 등재해야 하며 가능하다면 국립수리박물관을 삼례에 유치해야 한다.

손안나 작가 dosa2092@daum.net
Copyright @2019 완주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주)완주미디어 | 등록번호 : 전북 아00528 | 등록일 : 2019-05-30 | 발행인 : 박종인 | 편집인 : 유범수 | 주소 : 완주군 봉동읍 낙평신월1길 5-5, 3층 | 전화 : 063-291-0371, 010-2994-2092 FAX: 063-261-0371 | Email : dosa2092@daum.net 완주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